눈표범의 위장 코트 색깔은 다른 모든 포식자들을 능가하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간크기로 다양한 색조의 갈색과 그릴을 특징으로 반점이 있는 검은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 밑, 턱, 얼굴 주변은 흰색이나 크림색입니다.
평균 몸무게는 27kg에서 54kg으로 다양합니다.
눈표범 신체구조
눈표범(스노우 레오파드)의 몸은 자세히 살펴볼 가치가 있어요.
매우 강하고 힘이 센 동물로 어깨뿐만 아니라 다리의 힘도 뛰어납니다.
설표는 매우 큰 발을 가지고 있어 움직일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또한 균형을 잡기 위해 꼬리를 사용합니다.
설원에서 살아가기 위해서 발바닥에는 열 손실을 막기 위해 털이 나 있으며, 그들이 추위에 떨지 않도록 쉴 때 두꺼운 꼬리로 얼굴을 가릴 수 있다.
설표는 꼬리를 물고 다니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꼬리털을 이용하여 숨을 쉬어 차가운 공기를 직접 흡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이 동물들은 매우 추운 지역에 살지만 추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설표의 발 디자인은 바위투성이의 산 지형을 통과할 수 있게 해주고 일년 내내 쌓여 있는 눈과 얼음을 가로질러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눈표범의 털은 다른 포식자들보다 휠씬 두껍워서 몸의 열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눈표범의 큰 입은 더 많은 산소를 섭취할 수 있게 해주는데 고산지대의 산소는 저지대 보다 훨씬 더 희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머리의 돔 모양은 또한 그들이 추운 곳에서 호흡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눈표범 진화
무엇이 이 특정한 종의 표범(레오파드)를 이렇게 추운 지역에 살게 만들었을까요?
우리가 눈표범의 과거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조사가 많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그들이 다른 포식자들로부터 어디서 갈라섰는지 잘 모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언젠가 남아 있는 질문들 중 몇 가지를 설명하는 화석이 발견될 것이라고 희망하고 있습니다.
눈표범 행동
눈표범은 다른 포식자들처럼 포효하는 못하며 쉿, 야옹, 으르렁, 울부짖는 소리를 포함하여 다른 의사소통 소리를 사용합니다.
설표는 영역을 갖고 있지만 다른 포식자들처럼 영역의 침범에 극단적인 행동을 하지는 않습니다.
사냥감이 존재하는 영역의 경계는 느슨한 편이며, 자신의 영역을 소변으로 표시하여 다른 개체가 영역을 침범하는 것에 경고를 합니다.
육식 동물의 인간에 대한 공격은 많이 보고되었지만, 눈표범은 그 중 하나가 아닙니다.
설표는 주변 환경에 섞이는 방식으로 인간에게 거의 보이지도 않고 인간과 어떤 종류의 갈등도 없이 떠나갑니다.
평화주의자인 설표는 인간에게 위협을 느낀다면 싸움보다는 자신의 사냥감을 놓고 떠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런 종류의 동물이 다른 고양이과 동물과 뭐가 다른지 궁금해 합니다.
눈표범 서식지와 분포
남아시아가 눈표범이 서식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설표는 고산지대의 산지에서 매우 잘 적응하였습니다.
여러분이 모를 수도 있는 것은 그들이 서식지 범위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설표는 중국, 인도, 러시아, 파키스탄과 그 밖의 인근 국가들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 분포되어 있으며, 여름에는 더 추운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눈표범의 식습관
모든 표범들처럼 설표 역시 고기를 먹는 야생동물로써 식량의 확보를 위해서 적극적으로 사냥하는 스타일입니다.
설표는 사냥가능한 모든 것을 사냥해서 먹어치웁니다. 만약 설표의 영역 안에 가축과 애완동물이 있다면 사냥의 대상감이 되는 것입니다. 인간이 눈표범의 자연환경에 점점 더 가까이 간다면 이 다툼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표가 무엇을 먹느냐 또는 산맥의 어느 부분에 거주하고 있느냐에 따라 사냥감은 달라질 수 있는데요. 주 사냥감으로 양, 사슴, 멧돼지, 원숭이, 설치류, 산토끼 등입니다. 물론 큰 먹잇감을 사냥하여 며칠 동안 먹을 수도 있습니다.
눈표범이 15m까지 뛸 수 있다는 사실은 사냥 성공율에 있어서 확실히 우위를 점하게 만들어 줍니다. 숨어서 공격의 기회를 끈기 있게 기다립니다.
공격할 때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사냥성공로 귀결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단 몇 초 만에 공격을 끝낼 수 없다면 사냥 성공에 대한 가능성을 포기합니다.
눈표범의 번식
눈표범의 짝짓기는 겨울의 후반부이며 그 이유는 새끼들이 더 따뜻해지는 4월이나 6월에 태어나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짜짓기를 마친 암컷은 새끼를 위한 안식처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안식처를 마련하는 동안 두꺼운 모피코트를 벗어 안식처의 난방에 사용합니다. 새끼는 한 번에 다섯 마리까지 태어날 수 있지만 보통 두 세마리가 태어납니다.
새끼들은 태어날 때 눈이 보이지 않지만 태어난 지 일주일이 되면 눈을 뜨게 되고 생후 10주 정도에 젖을 떼게됩니다.
젖을 땐 새끼들은 고기를 먹기 시작하며, 생후 2개월쯤 되면 굴을 떠나 엄마의 사냥을 돕기 시작합니다.
새끼들은 두 살 정도까지 엄마와 함께 생활합니다. 할 것이다.
다 자란 수컷들은 엄마로 부터 먼 거리로 떠나 자리를 잡게 되는데, 이렇게 멀리 떨어진 곳에 영역을 갖음으로써 유전자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컷 새끼들은 엄마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습니다.
눈표범을 위협하는 포식자
눈표범이 걱정할만큼의 설표를 위협할 수 있는 포식자는 없습니다. 물론 다 자라지 못한 어린 새끼들은 엄마의 보호를 받지 못 하는 경우에 희생될 수 있습니다.
설표는 오늘날 약 6,500마리 정도가 야생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그 중에는 600마리 정도가 동물원에서 보호받고 있습니다.
'동물친구들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가 긴 개 품종인 닥스훈트는 훌륭한 사냥개 입니다. (0) | 2020.10.08 |
---|---|
야생의 포식자인 아프리카 삵쾡이 카라칼 의 궁금증 (0) | 2020.10.07 |
토이 품종의 말티즈 몰티즈 성격과 관리법 (0) | 2020.10.05 |
피부색이 변하는 은폐의 천재 카멜레온 (0) | 2020.10.01 |
갑옷을 두른 포유류 아르마딜로. 둥근 공으로 변신하는 동물 (0) | 2020.09.30 |